기본적으로 파이썬에서는 변수에 데이터를 넣는 순간 그 변수의 Data Type이 결정된다.
이때 int는 '숫자형'을 의미한다.
숫자형은 2진수, 8진수, 16진수 및 소수점을 가진 실수 형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
사칙연산과 제곱(**), 나머지(%), 나눈 후 소수점 버리는 (//) 형태의 연산이 가능하다.
(결과)
1000
1
3
이 외에도 True나 False만 저장할 수 있는 bool형
문자를 저장하는 str(String)형이 있다.
특히 문자형에서 따옴표는 '와 " 모두 똑같이 인식하고
문자열 내에 따옴표를 쓰고 싶을때는 \(역슬레시)를 붙여주면 된다.
또한 출력할 때 한줄을 띄고 싶으면 print('') 또는 print("")와 같이 공백을 인식시켜주면 한줄 띄어쓰기를 할 수 있다.
(결과)
Hello World!
<class 'str'>
큰 따옴표는 "모양이다
작은 따옴표는 '모양이다.
엑셀 vba를 다뤄봤던 사람이라면 변수의 타입을 일일히 지정해줘야 하는 vba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.
예를 들어서 밑의 코드를 보자.
(결과)
<class 'int'>
a=123을 넣는 순간 'int'라는 type이 정해져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.
1 2 3 | a = 123 type = type(a) print(type) |
(결과)
<class 'int'>
a=123을 넣는 순간 'int'라는 type이 정해져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.
이때 int는 '숫자형'을 의미한다.
숫자형은 2진수, 8진수, 16진수 및 소수점을 가진 실수 형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
사칙연산과 제곱(**), 나머지(%), 나눈 후 소수점 버리는 (//) 형태의 연산이 가능하다.
1 2 3 4 5 6 | a=10 b=3 print(a**b) print(a%b) print(a//b) |
(결과)
1000
1
3
이 외에도 True나 False만 저장할 수 있는 bool형
문자를 저장하는 str(String)형이 있다.
특히 문자형에서 따옴표는 '와 " 모두 똑같이 인식하고
문자열 내에 따옴표를 쓰고 싶을때는 \(역슬레시)를 붙여주면 된다.
또한 출력할 때 한줄을 띄고 싶으면 print('') 또는 print("")와 같이 공백을 인식시켜주면 한줄 띄어쓰기를 할 수 있다.
1 2 3 4 5 6 7 8 9 | a = 'Hello World!' print(a) print(type(a)) print('') a = '큰 따옴표는 \"모양이다' b = '작은 따옴표는 \'모양이다.' print(a) print(b) |
(결과)
Hello World!
<class 'str'>
큰 따옴표는 "모양이다
작은 따옴표는 '모양이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